2. 제티 프레임 ( Jetty Frame)
여기 중세 서양 목조건축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것 역시 인간의 욕망이 투영된 형태이다.
중세 유럽의 성(城) 안에서는 가용 토지가 한정되어 있었고, 인구 증가와 상업 활동의 발달로 인해 토지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했다. 따라서 성안의 건축 양식은 제한된 도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따라서 건축가들은 수평적인 확장보다는 수직 확장에 중점을 두게 되었고, 그 결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가 높은 지붕각을 이용해 건물의 층고를 높이고 용적률을 극대화하는 방식이었으며,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이 바로 제티(Jetty) 양식이였다.
제티 양식은 건물의 상층부가 하층부보다 돌출되게 설계된 독특한 건축 방식이다. 성 안의 상업 중심지에서는 보통 1층을 상업 공간으로, 상층부를 주거 공간으로 사용하는 건축 방식이 흔했는 데 제티 양식은 상층부의 공간을 확장해 주거 환경을 개선할 수 있었고, 동시에 하층 상업 공간을 침해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였다. 이는 상층부의 내부 공간을 확장함으로써 제한된 토지 면적 내에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성벽 안과 같은 밀집된 도심에서 제한된 면적을 극복하기 위한 실용적인 해결책으로 사용되었다. 이 양식은 일반적으로 도시화 된 지역에 건축된 건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데, 특히 독일, 영국, 프랑스 노르웨이 등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티 양식의 주요 목적은
첫째, 공간의 확장이다. 제티 양식은 상층부를 돌출시킴으로써 하층의 면적을 침범하지 않고 건물의 상층 공간을 확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좁은 토지에서 더 많은 생활 공간을 만들 수 있었던 효율적인 방법이다.
둘째, 하층부의 보호이다. 돌출된 상층부는 목조 하층부를 비, 눈, 햇빛 등 날씨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이는 목재로 지어진 건물에서 하층을 보호해 건물의 내구성을 높이는 실용적인 방안이었다.
셋째, 건축물의 환기 및 채광에 도움을 준다. 돌출된 상층부로 인해 창문이 더 많이 설치될 수 있었고, 이는 내부 공간의 환기와 자연광을 더 많이 유입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수 있었다. 밀집된 도시 환경에서 창문이 더 넓게 배치되면서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런 이유로 제티 양식은 건물의 외형적 독특함을 더해 도심 경관을 변화 시켰다. 중세 도시의 좁고 복잡한 거리에서는 제티 양식을 적용한 건물들이 쌓여가면서 상층부들이 길거리 위로 점차 돌출되어 가는 특유의 도시 경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결론 적으로 제티 양식은 중세 유럽 도시 건축에서 제한된 토지와 높은 토지가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방법 중 하나였다. 성 안의 밀집된 환경에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고, 건물의 실용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높은 지붕각을 이용한 층고 확장과 더불어, 중세 건축에서 토지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건축적 해법 중 하나였다.
하지만 제티(Jetty) 양식이 중세 유럽 도시에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건축 방법으로 발전했지만, 이 양식이 극단적으로 발전하면서 몇 가지 폐해가 발생하였다. 제티 양식은 상층부를 돌출시키는 방식으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지나치게 사용되거나 여러 건물이 이 양식을 도입하면서 도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도심의 제티 양식의 건물들이 밀집된 도시에서 점차 상층부가 돌출되면서, 거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어두워지게 되었다. 특히 골목길에서 상층부가 서로 마주보는 건물들이 돌출될 경우, 거리 위로 층이 계속 쌓여 마치 터널처럼 햇빛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런 환경은 겨울철에는 빛이 부족해 거리가 매우 음침해졌고, 여름에는 환기 부족으로 인해 공기가 정체 되어 위생 상태가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런데 중세 유럽 도시 대부분의 건축물은 목재로 지어졌으며, 제티 양식 역시 목재 구조를 기반으로 한 건물들이 많았는 데 상층부가 돌출되고 건물들이 밀집되면서 건물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졌고, 그로 인해 화재 발생 시 불길이 빠르게 확산될 위험이 커졌다. 특히 돌출된 상층부가 서로 가까이 닿아있을 경우, 하나의 건물에 불이 나면 인접한 건물로 쉽게 옮겨 붙어 도시 전체로 화재가 번질 위험이 매우 컸기 때문에 실제로 중세 도시들에서는 대형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또 제티 양식의 건물들이 좁은 거리를 형성하면서, 건물 자체의 환경은 개선된 반면 건물 밖 거리와 건물 사이의 환기가 어려워지고, 쓰레기 처리도 힘들어졌다. 게다가 상층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종종 쓰레기나 오수를 아래로 던지는 경우가 많았고, 좁은 골목길에는 이러한 오염물이 쌓이면서 도시의 위생 상태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이러한 환경은 전염병의 확산에도 기여했으며, 특히 흑사병과 같은 전염병이 중세 유럽을 휩쓴 시기에 도시 위생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여담으로 중세 유럽에서 화장실은 현대적인 수세식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오물 처리는 매우 비위생적이었다. 사람들은 주로 요강을 사용했고, 그 오물을 창 밖으로 던지는 경우가 빈번했다. 그런데 이때, 제티(Jetty) 양식은 오물을 던질 때 하층부에 거주하거나 지나가는 사람들이 오물로부터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했다. 돌출된 상층부 덕분에 하층부의 외벽은 상대적으로 보호되었고, 오물이 직접적으로 건물에 닿지 않도록 도와주었다. 하지만 좁은 거리와 밀집된 주거 환경에서 사람들은 오물을 창 밖으로 던질 때 아무런 경고 없이 던지기도 하였기 때문에 이런 문제로 인해 거리의 위생 상태가 매우 악화되었고, 대 도시의 악취는 유명해졌다.
더 나아가 제티 양식이 무분별하게 적용되면서, 도시의 미관 또한 혼란스러워졌다. 건물들이 제각각 돌출되면서 일관된 도시 경관이 무너졌고, 계획 없이 건물이 추가되거나 확장되면서 거리가 불규칙하고 혼잡한 형태로 발전했다. 이는 중세 도시의 교통 흐름에도 악영향을 미쳤으며, 상인과 주민들 사이에서 불편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다. 돌출된 상층부로 인해 건물의 하층부에 생기는 공간이 더 좁아지면서, 안전 문제도 제기되었다. 좁아진 거리는 사람이 피하거나 대피할 공간을 줄여주었고, 특히 화재나 무장 충돌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빠르게 대피하기가 어려워졌다. 기술적으로 무리하게 확장된 제티 건축은 돌출된 상층부가 붕괴할 위험도 있었고,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었다. 아울러 음침해진 골목과 환경으로 범죄나 치안에도 문제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제티 양식은 성 안의 좁은 공간에서 건축물의 면적을 늘리는 데는 도움이 되었지만, 도심이 밀집되면서 새로운 건물이나 도로를 확장하는 데 있어 도시 계획상의 장애가 되어 상층부가 돌출된 건물들이 도시의 교통과 공간 배치에 복잡성을 더하면서, 장기적인 도시 확장이 어려워졌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인식 하게 된 중세 후기로 넘어가면서 제티 양식의 무분별한 확장을 규제하려는 도시 정책들이 등장하였다. 우선 제티 양식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는 법령이 생겼고 몇 번의 화재를 겪은 대도시는 신축 시 건물간의 이격을 법제화 하게 되었고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석재와 같은 불에 강한 재료를 외장재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기존 목조건축물의 외부를 회벽으로 덮어씌운다든지 하는 화재 방지책이 났다. 또한 도시 위생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하수도 시스템과 거리 정비가 강화되면서, 제티 양식의 폐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제티 양식은 중세 유럽에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유용한 방법이었지만, 극단적으로 발전하면서 거리 협소화, 화재 위험, 위생 문제, 도시 미관 악화와 같은 폐해를 불러일으켰고,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제티 양식은 중세 말기에 점차 규제되었으며, 더 안전하고 계획적인 도시 구조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 사용이 줄어들게 되었다.
영국 튜더양식 프레임에 적용된 더블 제티 (Double Jettied Timberframe)
노르웨이등 북유럽에서 보이는 고상식 창고 (Stabbur). 이 창고들은 지면에서 떨어진 형태로 지어졌으며, 습기와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설계가 특징이다. 석재 기초 위에 하단에는 횡치식 통나무를 쌓고 그위에 제티를 이용하여 건축을 한다. 이때 제티의 목적은 면적을 키우는 목적이 있겠고 또 다른 이유는 물리적으로 하단의 목재를 빗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이 있다.
2. 제티 프레임 ( Jetty Frame)
여기 중세 서양 목조건축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것 역시 인간의 욕망이 투영된 형태이다.
중세 유럽의 성(城) 안에서는 가용 토지가 한정되어 있었고, 인구 증가와 상업 활동의 발달로 인해 토지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했다. 따라서 성안의 건축 양식은 제한된 도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따라서 건축가들은 수평적인 확장보다는 수직 확장에 중점을 두게 되었고, 그 결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가 높은 지붕각을 이용해 건물의 층고를 높이고 용적률을 극대화하는 방식이었으며,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이 바로 제티(Jetty) 양식이였다.
제티 양식은 건물의 상층부가 하층부보다 돌출되게 설계된 독특한 건축 방식이다. 성 안의 상업 중심지에서는 보통 1층을 상업 공간으로, 상층부를 주거 공간으로 사용하는 건축 방식이 흔했는 데 제티 양식은 상층부의 공간을 확장해 주거 환경을 개선할 수 있었고, 동시에 하층 상업 공간을 침해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였다. 이는 상층부의 내부 공간을 확장함으로써 제한된 토지 면적 내에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성벽 안과 같은 밀집된 도심에서 제한된 면적을 극복하기 위한 실용적인 해결책으로 사용되었다. 이 양식은 일반적으로 도시화 된 지역에 건축된 건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데, 특히 독일, 영국, 프랑스 노르웨이 등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티 양식의 주요 목적은
첫째, 공간의 확장이다. 제티 양식은 상층부를 돌출시킴으로써 하층의 면적을 침범하지 않고 건물의 상층 공간을 확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좁은 토지에서 더 많은 생활 공간을 만들 수 있었던 효율적인 방법이다.
둘째, 하층부의 보호이다. 돌출된 상층부는 목조 하층부를 비, 눈, 햇빛 등 날씨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이는 목재로 지어진 건물에서 하층을 보호해 건물의 내구성을 높이는 실용적인 방안이었다.
셋째, 건축물의 환기 및 채광에 도움을 준다. 돌출된 상층부로 인해 창문이 더 많이 설치될 수 있었고, 이는 내부 공간의 환기와 자연광을 더 많이 유입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수 있었다. 밀집된 도시 환경에서 창문이 더 넓게 배치되면서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런 이유로 제티 양식은 건물의 외형적 독특함을 더해 도심 경관을 변화 시켰다. 중세 도시의 좁고 복잡한 거리에서는 제티 양식을 적용한 건물들이 쌓여가면서 상층부들이 길거리 위로 점차 돌출되어 가는 특유의 도시 경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결론 적으로 제티 양식은 중세 유럽 도시 건축에서 제한된 토지와 높은 토지가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방법 중 하나였다. 성 안의 밀집된 환경에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고, 건물의 실용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높은 지붕각을 이용한 층고 확장과 더불어, 중세 건축에서 토지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건축적 해법 중 하나였다.
하지만 제티(Jetty) 양식이 중세 유럽 도시에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건축 방법으로 발전했지만, 이 양식이 극단적으로 발전하면서 몇 가지 폐해가 발생하였다. 제티 양식은 상층부를 돌출시키는 방식으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지나치게 사용되거나 여러 건물이 이 양식을 도입하면서 도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도심의 제티 양식의 건물들이 밀집된 도시에서 점차 상층부가 돌출되면서, 거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어두워지게 되었다. 특히 골목길에서 상층부가 서로 마주보는 건물들이 돌출될 경우, 거리 위로 층이 계속 쌓여 마치 터널처럼 햇빛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런 환경은 겨울철에는 빛이 부족해 거리가 매우 음침해졌고, 여름에는 환기 부족으로 인해 공기가 정체 되어 위생 상태가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런데 중세 유럽 도시 대부분의 건축물은 목재로 지어졌으며, 제티 양식 역시 목재 구조를 기반으로 한 건물들이 많았는 데 상층부가 돌출되고 건물들이 밀집되면서 건물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졌고, 그로 인해 화재 발생 시 불길이 빠르게 확산될 위험이 커졌다. 특히 돌출된 상층부가 서로 가까이 닿아있을 경우, 하나의 건물에 불이 나면 인접한 건물로 쉽게 옮겨 붙어 도시 전체로 화재가 번질 위험이 매우 컸기 때문에 실제로 중세 도시들에서는 대형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또 제티 양식의 건물들이 좁은 거리를 형성하면서, 건물 자체의 환경은 개선된 반면 건물 밖 거리와 건물 사이의 환기가 어려워지고, 쓰레기 처리도 힘들어졌다. 게다가 상층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종종 쓰레기나 오수를 아래로 던지는 경우가 많았고, 좁은 골목길에는 이러한 오염물이 쌓이면서 도시의 위생 상태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이러한 환경은 전염병의 확산에도 기여했으며, 특히 흑사병과 같은 전염병이 중세 유럽을 휩쓴 시기에 도시 위생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여담으로 중세 유럽에서 화장실은 현대적인 수세식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오물 처리는 매우 비위생적이었다. 사람들은 주로 요강을 사용했고, 그 오물을 창 밖으로 던지는 경우가 빈번했다. 그런데 이때, 제티(Jetty) 양식은 오물을 던질 때 하층부에 거주하거나 지나가는 사람들이 오물로부터 피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했다. 돌출된 상층부 덕분에 하층부의 외벽은 상대적으로 보호되었고, 오물이 직접적으로 건물에 닿지 않도록 도와주었다. 하지만 좁은 거리와 밀집된 주거 환경에서 사람들은 오물을 창 밖으로 던질 때 아무런 경고 없이 던지기도 하였기 때문에 이런 문제로 인해 거리의 위생 상태가 매우 악화되었고, 대 도시의 악취는 유명해졌다.
더 나아가 제티 양식이 무분별하게 적용되면서, 도시의 미관 또한 혼란스러워졌다. 건물들이 제각각 돌출되면서 일관된 도시 경관이 무너졌고, 계획 없이 건물이 추가되거나 확장되면서 거리가 불규칙하고 혼잡한 형태로 발전했다. 이는 중세 도시의 교통 흐름에도 악영향을 미쳤으며, 상인과 주민들 사이에서 불편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다. 돌출된 상층부로 인해 건물의 하층부에 생기는 공간이 더 좁아지면서, 안전 문제도 제기되었다. 좁아진 거리는 사람이 피하거나 대피할 공간을 줄여주었고, 특히 화재나 무장 충돌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빠르게 대피하기가 어려워졌다. 기술적으로 무리하게 확장된 제티 건축은 돌출된 상층부가 붕괴할 위험도 있었고,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었다. 아울러 음침해진 골목과 환경으로 범죄나 치안에도 문제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제티 양식은 성 안의 좁은 공간에서 건축물의 면적을 늘리는 데는 도움이 되었지만, 도심이 밀집되면서 새로운 건물이나 도로를 확장하는 데 있어 도시 계획상의 장애가 되어 상층부가 돌출된 건물들이 도시의 교통과 공간 배치에 복잡성을 더하면서, 장기적인 도시 확장이 어려워졌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인식 하게 된 중세 후기로 넘어가면서 제티 양식의 무분별한 확장을 규제하려는 도시 정책들이 등장하였다. 우선 제티 양식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는 법령이 생겼고 몇 번의 화재를 겪은 대도시는 신축 시 건물간의 이격을 법제화 하게 되었고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석재와 같은 불에 강한 재료를 외장재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기존 목조건축물의 외부를 회벽으로 덮어씌운다든지 하는 화재 방지책이 났다. 또한 도시 위생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하수도 시스템과 거리 정비가 강화되면서, 제티 양식의 폐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제티 양식은 중세 유럽에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유용한 방법이었지만, 극단적으로 발전하면서 거리 협소화, 화재 위험, 위생 문제, 도시 미관 악화와 같은 폐해를 불러일으켰고,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제티 양식은 중세 말기에 점차 규제되었으며, 더 안전하고 계획적인 도시 구조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그 사용이 줄어들게 되었다.
영국 튜더양식 프레임에 적용된 더블 제티 (Double Jettied Timberframe)
노르웨이등 북유럽에서 보이는 고상식 창고 (Stabbur). 이 창고들은 지면에서 떨어진 형태로 지어졌으며, 습기와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설계가 특징이다. 석재 기초 위에 하단에는 횡치식 통나무를 쌓고 그위에 제티를 이용하여 건축을 한다. 이때 제티의 목적은 면적을 키우는 목적이 있겠고 또 다른 이유는 물리적으로 하단의 목재를 빗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이 있다.